수족 냉증은 손발이 시리고 찬 증상인데 심하면 통증도 수반하는 경우도 있으며, 주로 남성 보다는 여성에게서 보다 흔히 발병하는데 그 이유는 남자는 양이고 여자는 음이기 때문입니다. 음과 수는 차고 무거운 것을 뜻하는 것으로 부종(몸이나 얼굴 및 수족이 붓는 경우)또한 여성에게서 빈발하며 부종이 나타나면 체중이 늘어나고 몸도 무겁고 권태로울 뿐 아니라, 추위도 잘 타고 손발도 냉한 경우가 많은데, 겉보기로 체격은 그럴듯하나 체력이 뒷받침 되지 않아 그렇습니다. 물론, 몸이 여윈 여성에게서도 수족냉증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몸이 찬 경우 손발도 차가운 편이 많고, 날씨까지 추워지면 그 고통이 더 심해질 것은 자명한 것이며 심한 경우에는 날씨에 관계없이 추위를 타며 손발이 차가운 느낌을 느끼며, 일반적으로 몸에 열이 많던 사람도 나이를 먹게 되면 양기가 점점 부족해지기 때문에 몸이 냉해지며 손발이 찬 경우가 나타나며 그래서 젊을 때는 내복을 입지 않다가도 나이가 들면 점점 내복을 찾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출산 후 산후조리 불량으로 인한 풍한사기의 침입으로 야기된 경우, 고혈압 및 저혈압 등의 순환기계통의 이상, 당뇨, 어혈, 소화기관 장애로 인한 소화흡수력 감퇴로 인한 허약, 식체로 인한 급성수족냉증, 부종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혈액순환장애(기혈순환장애)입니다. 손발이 시린 경우 배가 찬 경우가 많은데, 나무로 비유할 때 사람의 배는 뿌리와 줄기에 해당하고 손발은 잔가지나 잎으로 비유 할 수 있습니다. 배에 있는 보일러의 화력이 약하면 손발까지 온기가 제대로 가지 못하게 되므로 손발이 시려지는 것입니다. 이것을 한방 이론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심양은 혈액을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추동작용을 하며, 간장은 우리 몸 전신으로 흘러나가는 혈액의 양을 조절하고 전신을 순행하고 귀환한 혈액을 저장하고, 비장은 음식물을 소화 흡수하여 혈액을 생성하고 그 혈액이 맥관 외로 넘치지 않게 통섭하는 작용을 하며, 여기에 폐기의 도움을 받아 끊임없이 우리 몸 전신에 골고루 혈액이 순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선천적으로 신양이 부족하여 손발이 찬 경우도 있지만, 후천적으로 앞서 언급한 혈압, 당뇨, 소화기장애, 식체, 산후조리불량(산후풍)등으로 손발이 찬 경우가 실제 임상에서는 보다 자주 경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손발이 시릴 때 직접 손발에 불을 쬐는 것보다 따뜻한 음식물을 먹어 배속이 뜨뜻해지면 자동적으로 손발까지도 따뜻해지는 것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나 이는 근본적으로 치료는 아닙니다. 또한, 식체시 특히 소아의 경우 머리에서는 고열이 나나 손발은 싸늘하게 찬 경우가 있는데, 이때 소상, 은백혈을 사혈하여 기혈순환을 시키면 머리의 열은 떨어지고 손발은 원래대로 따뜻해지는데 이런 경우는 엄밀한 경우의 수족냉증이라 말할 수 없습니다. 물론 찬 음식을 너무 많이 먹거나 배를 차갑게 노출시키는 경우에도 배가 차가와지면서 손발 또한 차가와지며 대변을 묽게 보는 경우가 있고, 선천적으로 신양이 부족하거나 과도한 부부관계나 비뇨생식계통이 약해져서 단전이 차가와지면서 수족냉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성기능이 떨어지거나,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 또는 생리통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경우에는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남자는 씨앗이고 여자는 밭이라 생각하여 언 밭에 씨앗을 뿌려보았자 어찌 씨앗이 발아 하겠는가?라고 하여 일찍이 남자건 여자건 간에 배(하초)가 차면 자손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하는 말이 나온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하초에 양기가 충만해야 생식기능도 제대로 작동할 수 있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손발이 찬 사람들(주로 여자)의 특징은 추위를 잘 타고 살짝 부딪치기 만해도 멍이 잘 드는 경향이 많으며 그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상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며 △반신욕 또는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으로 말초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원인에 따라 침·구·한약으로 치료하면 괄목할 만한 치료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기경석 (완주요양병원 한방1과 원장)
최종편집: 2025-08-13 12:04:3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완주전주신문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동서로 48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라북도, 다01289 등록(발행)일자 : 신문:2012.5.16.
발행인 : 김학백 편집인 : 원제연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제연청탁방지담당관 : 원제연(010-5655-2350)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학백
Tel : 063-263-3338e-mail : wjgm@hanmail.net
Copyright 완주전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