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천면 가천리에 위치한 화암사는 우리고장의 중요한 문화를 간직해 온 소중한 사찰 중에 하나다. 화암사는 신라 진성여왕 3년(694년)에 일교국사가 창건했으며, 신라시대 원효대사와 의상대사도 한때 이곳에서 공부했다고 전한다. 특히 화암사의 극락전은 중국 남조시대 때 유행했던 하앙식 건물 구조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예로 그 가치가 높다. 시원한 바람이 부는 주말 가족과 함께 화암사를 들러보자. ============================= ■화암사는 ----------------------------- 화암사는 한문으로 꽃화(花)자와 바위암(巖)자 그리고 절사(寺)자로 쓰인다. 한문을 그대로 풀이하면 바위에 꽃이 핀 절이란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절에는 보물 제 662호로 지정된 우화루와 전북유형문화재 40호인 동종, 국보 제 316호인 극락전 및 부속 건물들로 이뤄져 있다. 특히 극락전은 중국 남조시대에 유행했던 하앙식 건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목조건축구조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분리되고 있다. 이 건물은 1981년 수리할 때 묵서명이 발견되어 조선 선조 38년(1605)에 건립되었음이 밝혀졌다. 극락전은 잡석기단 위에 자연석 덤벙주초를 놓고 민흘림기둥을 세웠으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양식의 맞배지붕 형식이다. 건물 내부에는 중앙칸 뒤쪽에 소박한 불단을 놓고 관세음보살상을 봉안하였으며, 그 위에 닫집을 만들어 비룡을 조각했다. 공포는 외이출목 내삼출목으로 외부는 앙서형의 쇠서를 새기고, 내부는 연화초를 새겼다. 공포 위에는 하앙이 경사로 얹혀져 외부에서는 처마의 하중을 받고 내부에서는 지붕하중으로 눌러주게 되어 있어 처마하중이 공포에 주는 영향을 격감시키게 했다. 우화루 또한 고대 건축 양식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건물로 보물 제 662호로 지정되어 있다. 광해군 때 만들어진 동종은 절이나 나라에 불행한 일이 일을 때에 스스로 소리를 내어 위급함을 알려 주었던 것에서 유래해 자명종이라 불렀다고 한다. 화암사는 불명산의 중턱에 그림같이 위치해있으며, 주위에 원시림이 병풍처럼 둘러있고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이 있어 문화유산답사와 휴식을 겸할 수 있는 운치 있는 곳이다. ================================== ■관련설화 ---------------------------------- 화암사에는 연화공주에 관한 설화가 하나 전해진다. 옛날에 임금의 귀여운 딸 연화공주가 원인 모를 병에 걸려 한 달이 다 되도록 사경을 헤매고 있었다. 훌륭한 의사, 좋다는 약도 공주의 병에는 모두 허사였다. 임금은 어느 날 도저히 살아날 것 같지 않은 딸의 마지막 소원을 빌기 위해 절에 나가 정성껏 불공을 드렸다. 그날따라 많은 비가 내렸다. 비에 흠뻑 젖은 임금은 궁에 오자마자 추위와 피곤으로 깊은 잠에 빠졌다. 얼마나 지났을까 임금 앞에 나타난 것은 평소 임금이 자주 다니던 절에 있는 부처님이었다. 부처님은 얼굴에 연꽃 같은 환한 웃음을 머금고 어느 때와 마찬가지로 자비로운 얼굴로 “이미 너의 갸륵한 불심에 감동하여 연화공주의 병을 낫게 할 것을 알려 줄 터이니 그리 알라”고 말했다. 부처님은 왕의 앞에 조그마한 연꽃잎 하나를 던져 주고는 사라졌다. 때는 엄동설한이라 연꽃이 없을 터인데도 부처님이 연꽃을 가지고 있는 것이 신기해서 왕은 연꽃을 조심스럽게 받아 쥐고 기뻐했다. 깜빡 잠에서 깨어난 임금님은 연꽃을 찾아보려 했으나 연꽃이 있을 리 만무했다. 며칠이 지난 뒤였다. 부처님이 임금님께 일러준 연꽃이 발견됐다는 소식이 임금께 알려 졌다. 연꽃이 피어 있는 것은 지금의 완주군 깊은 산봉우리 바위에 있다는 것이었다. 겨울에 연꽃이 피었다는 것도 신기한 일이지만, 연꽃이 연못에 피지 않고 산중 높은 산 바위 위에서 피어 있다는 것은 더더욱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임금님은 이는 분명히 하늘이 내려준 은혜의 꽃이라고 생각하고 몇몇 신하들에게 조심스럽게 꽃을 가져오도록 명령했다. 신하들은 며칠이 걸려 연꽃이 핀 산으로 올라갔다. 산에는 누가 오르내렸는지 모르나 길이 훤히 트여 있었다. 신하 중에 한 사람이 이상히 여기고 꽃을 꺾으려다 말고 다른 일행들에게“아무래도 이런 일은 보통 일이 아니니 먼 곳에 숨어서 이곳에 누가 이 연꽃을 키우고 있는가를 알아보자.”고 말했다. 얼마를 지났을까, 난데없이 산 밑에 있는 연못 속에서 용 한 마리가 나타나 산위로 올라가 연꽃에 물을 뿌려주고는 다시 연못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신하들은 이 엄청난 광경에 무서움과 두려움으로 덜덜 떨고만 있었다. 그 중에 기운이 세고 담력이 큰 몇 사람만이 겨우 연꽃을 가지고 오게 되었다. 연꽃을 먹게 된 공주는 언제 그런 무서운 병에 걸렸었느냐는 듯이 금방 여름 아침 연꽃처럼 활짝 피는 것이었다. 임금님을 비롯한 왕비와 모든 신하들의 기쁨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임금님은 부처님의 고마운 은덕을 깨닫고 더욱 불심에 깊게 파고들었으며 연꽃이 있던 곳에 커다란 절을 짓고 부처를 모시게 했다. 임금님과 많은 신하들이 이곳에 와 불공을 드리는 한편 이 절 이름을 화암사라 지었다.
최종편집: 2025-08-14 03:19:08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완주전주신문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동서로 48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라북도, 다01289 등록(발행)일자 : 신문:2012.5.16.
발행인 : 김학백 편집인 : 원제연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제연청탁방지담당관 : 원제연(010-5655-2350)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학백
Tel : 063-263-3338e-mail : wjgm@hanmail.net
Copyright 완주전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