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경강의 발원지와 사계절의 아름다움, 그 안에 간직한 보물과 같은 물고기와 식물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만경강 수생생물 체험과학관’. ‘만경강 수생생물 체험과학관’은 지난해 공사를 시작해 올해 4월 문을 열었다. 이곳에는 3개의 전시실과 2개의 영상 체험실을 갖추고 있다. 특히 관람객들에게 보다 즐거움을 주기위해 갖춰진 3D 게임관과 4D 영상관은 ‘만경강 수생생물 체험과학관’의 대표 자랑거리다. 또한 인근의 무공화테마식물원과 고산자연휴양림, 밀리터리파크 등도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있어 보고 즐기면서 체험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 ■만경강 수생생물 체험과학관 건립 ============================= 만경강 수생생물 체험과학관은 자연과학 교육은 물론, 이와 관련된 인프라 시설을 완주군에 확충해 지역주민은 물론 완주군을 찾는 내방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건립됐다. 이를 위해 완주군은 총 28억원을 투자해 고산면 오산리 고산자연휴양림 입구에 연면적 860㎡ 규모로 만경강 수생생물 체험과학관을 지었고 올해 4월 16일 문을 열었다. 과학관 내에는 두 개의 전시실과 3D·4D영상관, 체험교육실 등이 갖춰져 있다. 먼저 1전시실에는 만경강 상류, 중류, 하류에 서식하는 어종을 구분해 관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1전시실에서는 환경오염과 외래종으로 인해 사라져가는 황쏘가리, 가시고기 등 보호어종 등 다양한 물고기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아울러 2전시실에는 수생곤충과 수생식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표본이 전시되어 있으며, 만경강의 변천사를 담은 영상의 시청까지 가능하다. 여기에 토종어류 보호에 대한 내용을 3D 게임과 4D 입체영상을 통해 쉽고 재미있는 콘텐츠로 전달하고 있다. 4D 영상관에서는 입체영상에 진동의자와 바람, 물이 분사되는 특수효과를 사용해 보고 느끼는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과학관 내에는 체험교육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 관람 후 소규모 토론이나 강의를 위한 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각 전시관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만경강에 서식하는 물고기를 알아맞히는 퀴즈 코너도 있어 학생들이 보다 쉽게 만경강의 생태를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완주군 관계자는 “방문객들에게 자연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일깨워 주며, 학생들에게는 생태계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는 자연과학 학습공간으로 활용 하겠다”며 “휴양림, 무궁화 테마식물원 등과 연계하여 생태학습관광에 있어 최적의 장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학관 입장료는 성인의 경우 2,000원이고, 어린이는 1,500원이며, 월요일은 휴관일이다. ============================= ■체험과학관의 물고기는 우리 담당 ============================= 과학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뭐니해도 과학관 내에 전시되어 있으면서 만경강에 서식하는 토종물고기들이다. 완주군은 지난 6월 과학관 내의 전시되어 있는 물고기들의 관리를 완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위원장 민국렬)에 위탁했다. 완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는 현재 과학관에 전시되어 있는 물고기들의 생육 및 관리, 부화 등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과학관에서 필요로 하는 물고기를 넣어주는 일도 하고 있다. 특히 완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는 전국에 1천 여 개가 넘는 자율관리어업공동체 중에서 우수공동체로 3번이나 선정될 정도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민국렬 회장은 “만경강 수생생물 체험과학관에 오시면 만경강에 서식하는 물고기 종류 등 물고기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면서 “관람객들이 과학관 내에서 보다 많은 토종어류들의 생육모습을 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완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 회원들은 만경강을 지키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만경강 수계를 테마로 한 생태어촌체험관광을 준비중에 있다.
최종편집: 2025-08-14 03:18:19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완주전주신문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동서로 48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라북도, 다01289 등록(발행)일자 : 신문:2012.5.16.
발행인 : 김학백 편집인 : 원제연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제연청탁방지담당관 : 원제연(010-5655-2350)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학백
Tel : 063-263-3338e-mail : wjgm@hanmail.net
Copyright 완주전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