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의 정서적 문제를 돕는 가족들의 수칙 ①환자가 망상이 심해 잘못된 주장(‘누가 날 죽이려 해’, ‘누가 내 것을 훔쳐 갔어’등)을 할 때에는 맞서 싸우거나 잘못된 것을 바로 고치려 하지 말고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게 하여야 합니다. ②치매환자들은 갑작스러운 변화나 복잡한 일을 하게 되면 매우 불안해합니다. 따라서 가구이동이나 이사와 같은 환경변화를 줄이도록 하고, 일과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환자가 혼돈스러워 하지 않도록 합니다. ③자극적인 TV화면은 환자에게 공포감이나 환상을 만들어 내기도 하므로 주의하도록 합니다. ④환자가 물건을 감추는 경우 집안의 물건을 간소화하여 쉽게 다시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⑤환자가 계속 기분이 우울한 상태로 있거나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할 때에는 환자가 말을 하지 못하게 야단치거나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이때에 환자의 호소를 관심 있게 들어주고, 기분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웃는 얼굴로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가 ‘죽고 싶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자신을 도와달라는 신호입니다. ⑥환자는 주위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있으면 자신을 욕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심하게 화를 냅니다. 치매환자는 의심이 심해지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 환자를 야단치게 되면 점점 더 의심이 심해지고 흥분하게 됩니다. 부드러운 방법으로 대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권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매환자의 신체적 문제에 대한 가족들의 수칙 ①환자가 차고 뜨거운 감각을 느끼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집 안의 전기 전원은 반드시 꺼놓고, 보이지 않는 곳에 두도록 합니다. ②환자가 대소변 실수를 할 때에 그것에 대해 나무라지 않도록 합니다. ③옷을 갈아입힐 때 옷을 환자의 눈앞에 순서대로 늘어놓고 환자에게 옷을 입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시키며 환자 스스로 옷을 입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④환자가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노인들은 골다공증이 흔해 넘어지면 골절되기 쉽습니다. ⑤치매환자는 혼자하기 어려운 상태임에도 도움받기를 거부하며 혼자서만 목욕탕에 들어가려고 하는데, 이때에는 옷을 벗는 것에 대해 수치심을 느낄 수 있으므로 마음이 맞는 사람과 함께 목욕탕에 들어가도록 배려합니다. ⑥목욕을 하지 않으려 하며, 목욕 중에 폭력을 휘두를 때에는 우선 부드러운 태도로 목욕을 권하고 격려해 주고 환자 스스로 목욕할 기분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⑦환자가 옷을 입거나 벗는 것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속옷과 겉옷을 바꿔 입거나 뒤집어 입고 다닐 때에는 환자를 야단치거나 무리하게 가르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⑧환자는 더러워진 옷을 갈아입히려고 하면 화를 내면서 거부하고 폭력을 휘두르기도 하는데, 이때 강제로 하려고 하면 자신을 괴롭힌다고 생각하고 더욱 저항합니다. 옷을 갈아입히기 전에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강하게 거부하면 무리하게 갈아입히려고 하지 말고 시간을 두고 다시 시도해야 합니다. ⑨방금 소변을 보고서도 계속 다시 화장실에 가겠다고 하거나 혼자 화장실을 찾지 못할 때에는 매번 요구에 응해 주도록 합니다. 치매환자라고 해도 감정과 자존심이 있으므로 화내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됩니다. 문제가 지속되면 의사의 진찰을 받게 합니다. ⑩환자가 화장실이 아닌 딴 곳에서 대소변을 함부로 볼 때에는 야단을 쳐도 자신이 왜 야단맞고 있는지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주의 깊게 관찰해서 배변의 낌새를 알 수 있게 됩니다. ⑪환자가 속옷에 대소변을 지리거나(실금) 싸고 이것을 어떻게 처리할지 몰라서 쩔쩔맬 때에 거칠고 난폭하게 옷을 갈아입혀서는 안 됩니다. 환자가 실금하기 전에 배설을 유도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배설을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⑫환자가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 대변을 보고 대변을 손으로 만지거나 옷, 방바닥, 벽 등에 묻힐 때에는 더럽다고 야단치지 말고, 아무렇지도 않은 것처럼 뒤처리를 하여 자존심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배려해 줍니다. ⑬환자가 한동안 계속해서 먹을 것을 찾다가 급기야는 자신의 대변을 집어먹는 행동을 할 때에 더럽다고 야단치면 환자의 혼란과 수치심만 가중시키게 됩니다. 말로 ‘대변은 먹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하여 이해시키려 하기보다는 과자 등 다른 먹을 것을 주어서 관심을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⑭환자가 화장실 변기 물에 세수를 하고 손을 씻거나 양치질을 하는 행동을 보일 때에 화를 내면 환자에게 혼란만 가중시킬 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환자가 수치심을 느끼지 않게 조심하면서 변기라는 사실을 간단히 알려주고 세면기로 안내합니다. ⑮환자는 목이 마르면 방 안에 놓아둔 간이 소변기의 소변을 마시기도 하므로, 간이 소변기는 소변을 보는 즉시 비워두도록 하며 환자 가까운 곳에 마실 물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최종편집: 2025-08-14 05:00:16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완주전주신문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동서로 48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라북도, 다01289 등록(발행)일자 : 신문:2012.5.16.
발행인 : 김학백 편집인 : 원제연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제연청탁방지담당관 : 원제연(010-5655-2350)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학백
Tel : 063-263-3338e-mail : wjgm@hanmail.net
Copyright 완주전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