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를 돌보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여러 상황에 보탬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환자 개개인에 따라, 또 가족들의 여건에 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래에 내용들을 중심으로 각 가정에 맞게 적용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치매의 치료에 가족의 이해와 인내는 필수입니다. 모든 상황에서 환자를 야단치거나 환자에게 화를 내고 강제로 하게 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일반 수칙 ------------------------------- ①보호자가 충분히 쉬어야 합니다.(다른 가족과 교대하기, 휴가 가기, 주간보호센터에 환자 보내기) ②주위 사람들의 말에 현혹되어서는 안 됩니다. 환자가 만성 질병이 있는 경우 주변인의 비전문적인 권고에 솔깃할 수 있으나 그 말에 현혹되어서는 안 됩니다. 꼭 담당 의사나 간호사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③치료를 함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더 나빠져서 간병인이나 병원을 이용할 때가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때를 대비하여 형제들과 간병인이나 병원 관련 사항에 대해 함께 미리 의논해 놓습니다. ④소그룹 활동(가족모임), 치매환자를 위한 복지관이나 병원 등의 정보를 알고 최대한 이용합니다. ⑤밤에도 적당한 조명을 유지합니다.(소켓에 끼우는 작은 전구, 미등) ⑥환자의 수준에 맞는 소일거리를 주어 주의를 돌리게 하고,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플라스틱 그릇 닦기, 걸레 빨기, 수건이나 옷 접기) ⑦외래에 올 때마다 환자의 이상행동을 잘 정리하여 담당 의사에게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망상, 우울, 초조, 불안, 불면 등의 증상은 약물로도 조절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⑧약물 중에는 환자의 인지기능을 떨어뜨리는 약물이 있습니다. ⑨치매환자는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기에 걸리기 쉬우므로, 가을이 되기 전에는 감기예방을 위해 인플루엔자백신을 맞히도록 합니다. ----------------------------------------------- ■치매환자의 기억력 상실과 의사소통을 돕는 가족들의 수칙 ----------------------------------------------- ①환자의 기억력을 증진시키려는 목적으로 과도하게 기억하라고 하거나 윽박지르는 행위와 같은 고의적인 자극은 삼가도록 합니다. ②물건을 자주 잊어버리므로 환자만의 전용상자를 만들어 줍니다. ③수돗물을 사용하고 나서도 잠그지 않고 내버려 둘 때에 야단치거나 화를 내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치매환자는 자신이 수돗물을 틀었다는 사실을 곧 잊어버리게 되니, 환자를 혼자 둘 때에는 수도를 잠가둬야 합니다. ④치매환자는 가스레인지 위에 음식을 올려놓은 것을 잊어 음식을 태우기도 하고 가스를 잠그는 것도 잊는 때가 많은데, 이때는 야단치지 말고 직접 가스를 잠급니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환자를 혼자 둘 때에는 미리 가스밸브를 잠가둡니다. ⑤치매환자는 질문에 대답하여 주어도 금방 잊어버리고 다시 같은 질문을 반복하는데, 같은 것을 반복해서 물어보더라도 끈기있게 잘 대답해 주어야 합니다. 이때 화를 내게 되면 환자는 자신감을 잃게 되어 치매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⑥환자를 불러도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고 시끄럽게 하지 말라며 화를 낼 때가 있는데, 이때에는 화를 내거나 큰 소리로 다시 부르지 않도록 합니다. 환자는 자신을 부르는 것을 모르거나 자신과는 관계없는 소리라고 생각해서 시끄럽다고 느낄 따름입니다. ⑦쉬운 이야기를 하여도 환자가 잘 알아듣지 못하면, 끈기와 인내와 애정을 가지고 천천히 반복해서 이야기합니다. 좀 더 쉬운 말로 충분히 설명을 하도록 하고, 이해하지 못하면 제스처를 적절히 활용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⑧환자가 함께 사는 가족을 알아보지 못할 때에는 야단치거나 바르게 가르쳐 준다고 해도 소용이 없고, 오히려 환자는 매우 혼란해지고 불안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자의 말을 부인하지 말고 인정하면서 응대해 주는 것이 환자를 안심시키는 방법입니다. 몇 번이라도 느긋하게 반응해 주도록 합니다. ⑨집 안에서 자신의 방을 못 찾고, 다른 방에 들어가서도 자신의 방이라고 하며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치매환자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두 이해하고 행동하는 것이 아닙니다. 갑자기 나가라고 하면 매우 당황하거나 흥분할 수 있습니다. 잘못을 지적하지 말고 환자와 함께 행동을 해주면,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안심하게 됩니다. ⑩환자가 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환자가 무슨 말을 하는지 잘 알아들을 수가 없다고 하더라도 환자를 무시하거나 야단치지 않아야 합니다. 이치에 맞지 않는 이야기를 해도 고개를 끄덕여 주거나 맞장구쳐 주면서 들어주어야 합니다. ⑪환자가 한밤중에 가족들을 깨워 큰 소리로 불필요한 이야기를 늘어놓을 때도 있습니다. 치매 노인들은 옆에 사람이 있으면 안심하므로, 이야기가 이치에 맞지 않더라도 이야기를 듣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최종편집: 2025-08-14 03:19:20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완주전주신문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동서로 48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라북도, 다01289 등록(발행)일자 : 신문:2012.5.16.
발행인 : 김학백 편집인 : 원제연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제연청탁방지담당관 : 원제연(010-5655-2350)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학백
Tel : 063-263-3338e-mail : wjgm@hanmail.net
Copyright 완주전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