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신정읍∼신계룡 345kV 송전선로’ 건설을 관련, 소양·동상면 주민들의 반발이 점점 거세지고 있다.
소양·동상 송전선로 백지화 추진위원회(위원장 박성래)는 지난 17일 전북환경운동연합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군과 정읍시, 임실군의 지역갈등 부추기고 희생을 강요하는 신정읍∼신계룡 송전선로 건설 사업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한전은 재생에너지 집적화 단지로 지정된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2.4GW)과 절차를 밟고 있는 전남 신안 해상풍력(8.2GW)단지 연계를 위한 송전선로 계통 보강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 대상지는 신정읍∼신계롱 변전소까지 345kV 송전선로 약 115㎞ 구간으로, 송전탑 250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에너지를 쓰는 곳에서 생산하자’는 ‘지산지소’, 분산에너지의 중심인 풍력발전 재생에너지 전기마저 수도권 송전 대열에 합류해 청정지역 농산촌에 철탑을 박는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들은 특히 “해당 주민들은 사전 고지를 받지 못한 채 한전이 민관협의체를 앞세워 1차 결론을 내린 뒤 홍보에 불과한 설명회를 통해 송전선로 계획을 알게 됐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주민대표 선출 과정도 일방적이었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전문가 집단이나 갈등 중재 전문가는 아예 선정위원회에 참여 시키지 않았다”면서 “누가 어떠한 대표성과 책임감으로 어떤 근거로 최적 경과대역으로 어떤 토론을 거쳐 결정했는지 회의록 공개를 요청해도 한전은 묵묵부답”이라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충분한 의견 수렴과 논의 절차 없는 일방통행으로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주민 희생만을 강요하는 밀어붙이기식 사업추진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345kV송전선로 백지화 ▲송전선로 지중화나 해상 연결 초고압 직류송전(HVDC) 도입 ▲1차 광역 입지선정위원회 회의자료 및 선호도 조사, 의사 결정 과정 확인할 수 있는 속기록과 회의록 공개 등을 강력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