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완주군의회에 이어 완주-전주 통합을 반대하는 지역 단체들의 움직임이 완주 곳곳으로 번지고 있다.
지난 5일 완주군의회는 제284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원칙과 기준이 무시되는 통합에 반대한다”며 서남용 의장이 대표 발의한 “완주·전주 행정구역 통합을 반대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의결·채택한 바 있다.
서남용 의장은 결의문을 통해 “완주군은 이제 군(郡)에 옷을 벗고, 시(市)로써 더 튼 도약을 준비하고, 전북 최초의 도농복합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발판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통합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난 13일에도 김대중재단 완주군지회(지회장 이돈승)가 ‘완주-전주 통합’과 관련해 완주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의 희생만 강요하는 완주전주 통합은 결사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돈승 지회장은 입장문에서 “어제(12일)완주전주통합추진위원회(이하 통추위)란 단체에서 주민투표 서명부를 행정안전부에 제출하겠다는 기자회견을 했다”며 “저들의 행태가 참으로 오만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통추위는 완주군수와 완주군의회 의원들을 방문, ‘행정 통합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확인했음에도 절대적 다수라는 힘을 이용해 밀어붙이기를 자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날 김대중재단 완주군지회는 “통추위가 통합의 바이블로 주창하는 청주시의 구 청원군을 3일 전인 6월 10일 방문해 구 청원군민들의 삶을 살펴보고 조언을 구했다”며 방문결과를 상세히 보고했다.
보고서에는 완주군 읍면에서 21명이 4개조로 나눠 무작위로 선정한 구 청원군 3개 면의 소재지 상가, 단체 사무실, 미용실 등을 돌며 본인 동의하에 인터뷰한 40명 여 건의 내용이 요약 정리돼 있다.
이와 관련 김대중재단 완주군지회는 “(주민들의)청취된 말씀을 종합하면 ‘절대 통합에 동의하면 안된다, 후회하게 된다’였다”면서 “‘만일 10년 전으로 돌아가 청원·청주 통합이 추진된다면 어떤 입장이냐?’고 물었을 때 단 3명만이 동의했고, 35명은 ‘적극적으로 반대한다’고 말씀해 주셨다”고 방문결과를 평했다.
김대중재단 완주군지회는 또 “통합반대 이유는 간단명료하다. 전북발전이라는 불분명한 구실로 완주군민을 희생시켜 전주시만의 발전을 획책하는 속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통합이 성사될 경우 전주시는 혐오 시설을 완주로 보내기 용이해지고 완주군 400여만 평 공단의 취업기회도 주어질 것이니 좋을 것이고, 통합이 안 되어도 손해볼일이 없기 때문에 시도 때도 없이 완주와의 통합을 주장하는 속내를 우리 완주군민들은 잘 알고 있다”며 “여기에 완주군민의 희생은 불 보듯 뻔하기에 완주군의 희생을 강요하는 전주시와 통합 추진단체의 요구를 결사반대하는 것”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완주군은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며 성장능력에서 대한민국 발전 1번지로 부상했다. 우리 완주군의 성장 잠재력은 존중받아야할 대상이지, 이웃의 기초자치단체가 약육강식의 음모로 집어 삼키려해서는 안된다”며 “전북발전을 위해 광역화가 필요하다는 허무맹랑한 논리로 전주시의 이익을 위해 완주군과 완주군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전주시와 통합 추진단체의 행위에 완주군민들이 분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완주·전주 통합은 가뜩이나 심각한 전북의 동서 간, 도농 간 격차를 더욱 벌일 것이 분명하다”며 “결국 전북발전의 새로운 모멘텀이 아닌, 전북 소멸의 위기를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대중재단 완주군지회는 이와함께 “현재 완주군 인구는 유일하게 증가추세를 보이며 10만명을 돌파해 완주시 승격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1인당 예산지원액은 전주시의 2배가 넘고, 농업예산과 교육예산은 전주시보다 각각 10배, 9배가 넘는다”며“통합이 될 경우 완주군민의 혜택을 크게 줄어들게 만든다는 선행 사례가 통합 청주시, 마창진의 창원시, 3여 통합의 여수시가 웅변해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늘 김대중재단 완주군지회의 공식 통합반대 성명이 완주군민의 단합된 의견을 대내외에 알리는 신호탄이 되길 기대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