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시니어클럽(관장 김정은)은 노인일자리전담기관으로써 경제일선에서 은퇴하고 지역 내에 거주하는 어르신들의 경륜과 경험에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회참여와 소득창출, 건강하고 풍요로운 노후가 되도록 지원하는 지역 어르신의 일자리창출 사업을 하고 있다. 종합정리하면 완주시니어클럽은 사업단을 운영해 어르신들의 일자리 제공 및 소득을 창출하여 농촌지역 어르신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돕고 있다. ▲사업소개 - 창업형 완주시니어클럽의 사업 형태를 보면 창업형과 인력파견형, 시장자립형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창업형 사업은 인력이 부족한 농촌지역에서 인력시장으로부터 소외된 농촌노인들의 일자리제공과 소득보충, 지역의 휴경지를 활용하여 농촌지역의 고유산업인 농업을 유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참여형 사업 보면 우선 어르신 30여명의 참여로 이뤄진 친환경영농사업단이 있다. 사업단에서는 공동농장을 조성해 친환경농법으로 10종 이상의 농산물을 재배, 생산·판매하고 있다. 또한 김 가공 식품 제조판매 사업단은 총 10명이 참여해 즉석구이 김을 비롯 김부각, 김자반을 제조 판매하고 있고, 완주로컬푸드매장 등에 납품중이다. 땅기운두부·반찬제조사업단도 창업형태의 사업 가운데 하나. 100%완주산 콩으로 두부를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지역농산물을 활용해 반찬을 만들고, 지역재가노인 밑반찬배달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총 7명이 참여하고 있는 두레유통사업단은 노인 생산품 홍보 및 판매, 유통사업은 물론 완주군 학교급식전처리 농산물 유통을 주요 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역 내 초등학교 및 공공기관 청소원 파견사업을 하는 실버청소용역사업단(15명)도 창업형 사업으로 완주시니어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사업소개 - 인력파견형 인력파견형 사업은 지역의 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연계 파견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 일거리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활동적인 노인 이미지를 확산시키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일하는 노장 사업단이 대표적인 인력파견형 사업이다. 지역에서 노인의 손길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파견하는 데 학교청소, 경비실, 병설유치원도우미, 주유소, 가공업체, 농가도우미, 육묘장 등에 파견된다. ▲사업소개 - 시장자립형 완주시니어클럽의 시장자립형 사업으로 고령자친화기업인 (주)새참수레가 있다. 지난 2012년 11월에 문을 연 새참수레는 뷔페식 레스토랑으로, 지역의 65세 이상 어르신이 쉐프로 참여하고 있다. 새참수레는 로컬프드와 슬로우프드를 접목, 지역농산물 및 어머니의 손맛을 느낄 수 있는 토속 음식을 직접 맛 볼 수 있어 많은 관광객들을 모으고 있다. ▲공익활동 완주시니어클럽에서는 사업단을 통해 다양한 공익활동사업도 펼치고 있다. 먼저 노노케어(老老 care)사업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 중 하나다. 지역의 돌봄이 필요한 노인을 발굴해 친구가 돼 말벗과 안부, 생활도우미 등의 역할을 하는데, 쉽게 설명하자면 노인이 노인을 돕는 사업을 말한다. 또한 공익활동사업으로 세대강사파견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총 20명이 참여, 지역아동센터 등 아동시설에 파견돼 이야기 할머니 등 강사활동을 하고 있는 실버강사파견사업단이 그 일을 맡고 있다. 이와함께 아동센터 및 아동 위생관리, 아동급식 및 간식보조, 아동보호 및 돌봄, 학습지도를 하는 지역아동센터돌봄지원사업단과 초등학교 급식실 배식도우미활동 지원을 하는 학교급식도우미지원사업단, 경로당 등 각 마을 공공이용시설 관리사업도 공익활동사업에 포함된다. ▲맺음말 완주시니어클럽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사업 외에 배추, 양파, 고추, 유정란, 쌈야채, 단호박 등 친환경농산물과 땅기운두부, 즉석구이김, 김부각, 김자반, 반찬 등 농산물 가공품을 생산,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완주시니어클럽 김정은 관장은 “어르신들의 행복한 일터를 많이 만들어 드리는 일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면서 “완주군 각 지역의 모든 어르신들이 가지고 일자리를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종편집: 2025-08-13 10:06:1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완주전주신문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동서로 48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라북도, 다01289 등록(발행)일자 : 신문:2012.5.16.
발행인 : 김학백 편집인 : 원제연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제연청탁방지담당관 : 원제연(010-5655-2350)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학백
Tel : 063-263-3338e-mail : wjgm@hanmail.net
Copyright 완주전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