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 주민이 가장 잘 안다. 군청 문화관광과는 잘 알 것이다. 완주군수는 알아둬야 한다. 요사이 ‘축제’나 ‘국정감사’ 이야기 뿐이니 고개를 돌려 ‘고향’ 이야기를 더듬어 본다. ‘삼례(역)’라는 이름이 서기1011년(고려 현종2) 《고려사절요》에 나오므로 오래된 고장이다. 오백조면 창덕면에서 행정 ‘면 이름’ 삼례가 된 것은 얼마 아니 되었다. 해방 전까지 삼례는 부자[지주]가 많아 소작인들이 도조를 지고 삼례에 들어가며 ‘절 한 번’, 지주 만나 ‘또 한 번’, 작별 인사로 ‘세 번째 절’을 하니 ‘삼례’란다는 우수개소리를 해도 ‘반론’이 없다. 지주 집안 행사에 나가지 않으면 찍히거나 괘씸죄(?)에 걸리니 꼭 ‘참례(參禮)’하고 세 번 예를 갖추어야 한다는 ‘삼례(參禮)’이론 역시 너그럽게 받아드린다. 이야기꾼은 자꾸 이야기를 만드는 버릇이 있다. 왜 삼례인가? 이렇다. 전라도는 한 때 ‘전라우도’와 ‘전라좌도’ 시절이 있었다. 곡성, 남원 방면은 ‘좌도’, 나주 방면은 ‘우도’인데 각도 양반들이 서울 가는 도중 좌도 양반은 ‘홈실 박씨’ 집안에서, 우도 양반은 ‘서도 장씨’ 집안에서 먹고 자며 다녔다. 이 우도 양반, 좌도 양반이 다음 장소 만나는 곳이 바로 “삼례역”이었다. ‘좌도’+‘우도’+‘삼례’ 세 골 ‘예절’이 어우러지는 곳이라 해서 ‘삼례(參禮)’라 했단다. 이를 뒷받침하는 글이 있다. “호남 암행어사 복명서계(湖南暗行御史復命書啓)”에 따르면 이렇다. “삼례역은 호남지방의 첫 번째 목구멍(咽喉:인후) 같은 곳이어서 대소의 행객이 본도에 들어 갈 댄 이 역을 경유하고…”. 완주군은 ‘삼례’를 키워야 한다. 전라북도는 이 ‘삼례’ 명성을 되 일으켜야 한다. 삼례 주민은 제 고장 ‘삼례’ 명성을 드높여야 한다. 스님 박한영이 눈에 들어 와야 하고 전 농림부장관 윤건중도 기억해야 한다. 우석대학교는 ‘삼례’ 갖춘 인재를 육성하여 삼례를 떠들썩하게 하라. 과객들 삼례 부자 뉘 집에서 먹고 자고 갔다는 인심 이야기를 찾아내야 한다. 짐작이야 가지만 삼례 사람 얘기를 듣고 싶다. ‘삼례 주민’들 자랑거리를 찾아내고 가꿔야 한다. 해방 직후 삼례 면민의 당찬 의기를 재조명할 때가 이제 왔다. 한편 유명한 윗삼례 ‘들샘’은 무슨 일이 있어도 메우거나 더럽혀선 아니 된다. 삼례 이름 ‘샘’에서 비롯했었을 수도 있다. /이승철(국사편찬위원회/사료조사위원) 칼럼니스트(esc2691@naver.com)
최종편집: 2025-08-09 23:36:11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완주전주신문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동서로 48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라북도, 다01289 등록(발행)일자 : 신문:2012.5.16.
발행인 : 김학백 편집인 : 원제연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제연청탁방지담당관 : 원제연(010-5655-2350)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학백
Tel : 063-263-3338e-mail : wjgm@hanmail.net
Copyright 완주전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