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완주군은 선별복지와 보편복지를 병행해 저소득 취약계층에는 질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고, 완주군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복지는 농촌지역의 특성을 살리고 확대해 주민의 행복도를 높이는데 목표를 두고 복지방향을 설정·추진했다.
그 결과 많은 성과를 거뒀는데 ‘완주군 희망지기 운영조례 제정’, ‘2013 복지행정 대상 수상’, ‘타 지자체 벤치마킹’ 등을 대표적 사례로 꼽을 수 있다.
먼저 지난 6월 완주군은 전국 최초로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등을 담은 ‘완주군 희망지기 운영조례’를 제정했다.
‘완주군 희망지기 운영조례’는 희망지기를 법정리 단위로 배치,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저소득 주민의 어려움을 돕는 등 서로 돌보는 복지마을을 조성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담고 있다.
이 조례가 제정됨에 따라 민·관·지역주민이 함께 촘촘한 복지 그물망을 형성해 주민들의 어려움에 빠르게 대처하고, 지원해 주민 행복도를 높이게 되는 발판을 마련했다.
완주군은 2013년 계사년 한 해 보건복지부 평가에서 3관왕을 달성하며 타지자체의 부러움을 한 몸에 받았다.
지난달 20일 완주군은 보건복지부 주관 노인분야 ‘창의혁신 지역복지 우수사례’공모심사 평가에서 ‘2013 복지행정상 대상’을 수상했다.
보건복지부는 완주군의 노인복지사업을 창의적이고 지역 친화적으로 수행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참여와 협력을 통한 생산적 노인복지 일자리사업과 홀몸 어르신 동절기 공동주거생활 운영 등 2건의 성공 사례는 타 지자체의 노인복지 체감도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완주군은 또 보건복지부 ‘복지행정상 조례 제정·시행 부문’공모에서 앞서 설명했듯 ‘완주군 희망지기 운영조례’로 우수 자치단체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는 특정 지자체의 독주를 막기 위해 기존에 수상 경력이 있는 자치단체는 아무리 좋은 사례가 있더라도 제외시키는 게 상식처럼 되어 있던 관례를 뒤 엎을만큼 우수 조례로 인정받아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0월에는 보건복지부 ‘2013년 복지행정상 민관협력 부문’ 우수사례 공모 심사 결과 대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는 지난 2012년 지역복지 정책평가에서 창의적 복지전달체계 우수상을 받은 데 이어 희망복지 분야에서만 2년 연속 수상이라 상의 무게감이 실렸다.
보건복지부는 지자체 주도의 민관협력 우수사례를 발굴, 확산시키기 위해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전을 실시했는데, 총 168건의 우수사례가 응모됐다.
완주군의 경우, 희망복지지원단의 자원연대 및 희망지기 운영사례, 사례를 통한 민관협력, 민간지원협약, 멘토·멘티 결연사업으로 응모, 최종 선정의 기쁨을 안았다.
완주군의 사례는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늘어나는 복지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효율적인 제도로써,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처럼 보건복지부 평가에서 타지자체에 비해 두각을 나타내면서 완주군의 복지 시스템을 배우기 위한 지자체, 공공기관, 단체 등의 방문이 줄을 이은 한 해였다.
최근 세종시 공무원과 경남 하동군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공주시 공무원 등이 다녀가는 등 지난해 11월 복지행정상 ‘창의적 전달체계분야’ 수상 이후 금년 12월 현재까지 서울시복지재단, 경북도청, 거제시, 무안군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등 34개소 400여명이 완주군을 찾았다.
이들의 방문 목적은 ‘완주군 우수 복지정책 벤치마킹’을 하기 위해서다.
복지전달쳬계 개편내용, 희망복지지원단의 활동, 민관협력 및 통합사례관리 내용, 자원개발관리 내용, 사회복지공무원 자체학습 등을 꼼꼼히 학습하고, 새참수레, 떡메마을 등 장애인일자리사업, 자원봉사센터의 활동 등 완주군의 복지 행정 전반을 벤치마킹했다.
임정엽 완주군수는 “농촌지역 복지의 핵심은 행정의 직접 지원이 아니라 주민들 서로가 서로를 도울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과 이를 잘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앞으로 더욱 더 생활의 어려움을 겪으나 발굴되지 않은 저소득층을 빠짐없이 발굴, 농촌지역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을 펼치겠다”고 밝혔다.